북한에서 많이 사용하는 ‘이 자동차’

북한에서 많이 사용하는 ‘이 자동차’
댓글 0 조회   559

작성자 : 결론은미친짓이다


 

1886년 칼 벤츠최초의 내연기관 차를 만들기 전까지 자동차는 증기기관으로 구동됐다. 석탄 등 땔감을 태워 작동하는 해당 동력 기관은 현재 거의 쓰이지 않는다. 하지만 비슷한 방식을 사용하는 국가가 전 세계에 단 한 곳 남아있다. 바로 북한이다.

 


북한에서 촬영된 사진이나 영상을 보면 짙은 연기를 뿜으며 움직이는 트럭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이에 “어딘가 고장이 난 것 아니냐”. “차에 불이라도 붙었나?”와 같은 반응이 나오기도 하지만 사실 지극히 정상적인 작동 모습이다. 해당 차량의 정체는 ‘목탄 가스 자동차(이하 목탄차)’다.

목탄차의 작동 원리는 증기 기관과 비슷하면서도 결정적인 차이점이 있다. 공통점을 먼저 살펴보자면 증기 기관은 석탄을, 목탄차는 이름 그대로 목탄을 태워 움직인다. ‘땔감’이 핵심인 만큼 굳이 목탄이 아니라 가소성 소재라면 무엇이든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목탄차는 1901년 발명돼 두 차례의 세계대전 시기에 맹활약했다. 상기한 대로 가소성 소재라면 연료를 딱히 가리지 않는다는 점이 최대 장점으로 작용한 덕이다. 기록에 따르면 1945년까지 독일에서만 약 50만 대의 목탄차가 운행된 것으로 전해진다. 그렇다면 오늘날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북한에서 목탄차가 운행되는 이유는 뭘까?

목탄차는 다소 원시적인 방식으로 작동하는 만큼 단점도 적지 않았다. 연료 종류에 따라 가스 발생량이 달라 출력이 일정하지 않았으며, 가스 포집 장치를 별도로 달아야 하는 만큼 중량, 부피 면에서도 불리했다. 이에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연료 수급이 정상화되면서 목탄차는 자연히 도태되고 가솔린, 디젤 등 내연기관으로 대체됐다.

하지만 북한은 오늘날까지도 다른 선택지가 없다. 장기적인 경제 제재와 경제난으로 인해 북한에서 연료 부족은 일상이다. 석탄조차 수급이 원활하지 않아 폐목재를 활용한 목탄 외에 별다른 선택지가 없었고 현재의 목탄차에 이른 것이다. 하지만 무분별한 벌채로 인해 산림이 황폐해져 장작마저 부족한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는 각종 쓰레기까지 마구잡이로 태워 운행하는 등 목탄차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다.

 


유머 게시판
제목
  • 넥슨 '그 손가락' 억지 주장에 또 무릎 꿇었다 
    561 2024.06.22
  • 잘못 보낸 메시지로 시작된 인연
    543 2024.06.22
  • 비행기에서 남자에게 절대 판매안하는 좌석
    556 2024.06.22
  • 34살에 월급 270이라도 행복한 이유
    538 2024.06.22
  • 공무원 시험 준비하면 절대 안되는 사람들 특징
    482 2024.06.22
  • 대학 여성 교수 비율 25% 할당제실시 
    486 2024.06.22
  • 대기업 인사고과 ㅈ같아서 들이박은 후기 
    472 2024.06.22
  • 한국의 대표적인 충무공 3인
    668 2024.06.22
  • 여자력 폭발하는 일본인 여자친구
    460 2024.06.22
  • 은근히 꽤 많다는 공항 늦게 가는 사람들
    635 2024.06.22
  • 세계 브라우저 및 운영체제 지도 
    552 2024.06.22
  • 국방홍보원 사망 훈련병 비하 논란 ㄷㄷ
    502 2024.06.22
  • 온갖 인간군상들 다 볼 수 있다는 직종 甲
    618 2024.06.22
  • 위기에 빠진 나이키 신입 상담원
    586 2024.06.22
  • 은행 셀럽이셨던 우리 할아버지 
    529 2024.06.22

로그인 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