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프랑스가 이탈리아화 되고 있다는 이유

최근 프랑스가 이탈리아화 되고 있다는 이유
댓글 0 조회   390

작성자 : 천사의눈물

 
 
최근에 3대 신용기관에 속하는 스탠더드 & 푸어스랑 피치가 프랑스 신용등급 강등
 

 
프랑스의 GDP 대비 재정 적자는 유럽 국가에서도 가장 심각한 수준
 

프랑스보다 재정적자가 심한 국가는 단 3국가. 루마니아, 헝가리, 이태리
 

 
 
그나마 헝가리는 출산 지원정책과 이탈리아는 저소득층 주택지원으로 늘은거라서 프랑스보다 장기 이득이라도 있음
 
 

 
사실 프랑스의 재정적자는 유명해서 1973년 이래 프랑스는 50년넘게 단 1번도 재정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음.
 

 
그 결과 프랑스의 GDP 대비 국가 부채 비율은 그리스와 이탈리아를 제외하고 유럽에서 가장 높은 수준.
 

 
결국 이는 투자자들과 신용평가사에게 리스크로 다가오고, 프랑스의 신용등급은 영국이나 한국 수준에서 체코나 슬로베니아 수준으로 떡락.
 

 
 
이렇게 된 근본적 이유로는 첫번째로 프랑스가 민간보다 정부주도 경제라는게 꼽힘. 프랑스의 공공영역 지출은 주요국 어느국가보다 높은 수준인 GDP의 58%.
 

[ GDP 대비 세율 ]
 
그런데 프랑스의 GDP 대비 세금 또한 46.2% 로 세계 1위.
 
 

 
 더 이상 증세로 이걸 메꾸기엔 이미 프랑스 시민들 약 70% 가 세후 월급 200만원대 수준이니 못견딤.
 

 
그리고 두번째 이유로는 경제 성장률 문제. 프랑스는 다른 선진국보다 출산율이 나은편이나, 사상 최초 저출산 국가 답게 저출산으로 인한 누적 데미지가 만만치 않음. 이미 프랑스는 초고령화 국가로 이미 분류되는중.
 

 
 
게다가 세계 명품 산업을 압도하고 있으나, 사치재는 수요층의 규모가 적어 시장이 작다는 한계가 존재. 실제로 프랑스의 탑 수출품을 보면 기계, 자동차, 전자기기, 항공, 제약, 석유화학등.
 

 
 
그런데 프랑스는 미니텔의 실패 이후 IT같은 신산업에서는 영영 뒤쳐진 상황으로 아날로그적이라고 놀림받는 독일 조차 SAP같은 테크 기업을 배출해낸데 비해 프랑스는 최상위권에선 없다시피함. 
 

 
 
그래서 초고령화로 인한 생산성 하락에 성장성 좋은 신산업마저 부재한 프랑스가 그나마 경제 성장률 반등을 위한 유일한 탈출구가 더 많은 돈을 푸는것이었고 이는 큰 재정적자의 원인이 됨. 
 

 
 
실제로 IMF 전망에서도 1인당 GDP의 흐름에서 독일이나 영국보다 이탈리아에 가까워지는 모습을 보이는데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


유머 게시판
제목
  • 내가 카공족 욕 안 먹으며 공부하는 팁 알려준다
    461 2024.06.10
  • 복싱 관장한테 깝친 MMA 문신충 양아치의 최후
    393 2024.06.10
  • 말이 안통하는 올리브영 레전드 알바생
    422 2024.06.10
  • 살인적인 뉴욕물가 근황
    399 2024.06.10
  • 요즘 MZ 조폭들이 협박하는 방법
    363 2024.06.10
  • 텔레그램 진짜 ㅈ같은 어플이다
    457 2024.06.10
  • 정보사 : 김정은 2030년 못넘긴다 
    498 2024.06.10
  • 심하게 갈린다는 본인의 침대 사이즈
    491 2024.06.10
  • 선빵 맞은 경비원 참교육
    417 2024.06.10
  • 남자라면 혐오할 여자 개량한복
    478 2024.06.10
  • 얼굴보다 목소리가 더 유명한 사람 
    564 2024.06.10
  • 네팔 길거리가 깨끗해진 이유 
    400 2024.06.10
  • 오픈채팅 난리난 '여군 중대장 너무 불쌍해요' 근황
    507 2024.06.10
  • 무알콜 와인 만들고 쫄딱 망할뻔한 가문
    439 2024.06.10
  • 배달어플 가격 꼼수 신종수법에 주의 
    614 2024.06.10

로그인 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